광고
로고

목자의 문은 늘 열려 있어야 한다

교황의 방북, 평화정착 긍정적

홍천뉴스투데이 | 기사입력 2018/10/13 [16:21]

목자의 문은 늘 열려 있어야 한다

교황의 방북, 평화정착 긍정적

홍천뉴스투데이 | 입력 : 2018/10/13 [16:21]

“의사의 집 문은 결코 닫혀 있어선 안 되고, 목자의 집 문은 늘 열려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미제라블’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장발장에게 용서를 베풀어 새 삶을 살게 한 미리엘 주교가 성서의 여백에 적어 놓은 글귀다. 그런가 하면 ‘의학철학’이라는 제목의 책에는 이런 글을 써 놓았다. “나도 그들처럼 의사가 아닌가? 나 역시 나의 환자들을 가지고 있다. 먼저 그들의 환자들을 가지고 있고, 다음에 내가 불쌍한 사람이라고 부르는 나의 환자들을 가지고 있다.” 그는 “용기병(龍騎兵) 연대장의 용기라는 것이 있듯이, 목자의 용기라는 것이 있다”는 말도 자주 했다. 많은 이들로부터 사랑을 받은 미리엘 주교는 ‘비앵브뉘(bienvenu)’ 예하라고 불렸다. ‘환영받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레미제라블’의 주인공은 잘 알다시피 장발장이다. 하지만 미리엘 또한 다른 의미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다. 죄의 구렁텅이에서 허덕이던 장발장이 자기희생과 속죄를 통해 거룩한 인간으로 거듭난 것은 미리엘 주교의 은덕 때문이다. 종교의 감화력은 오류에 빠진 인간을 구원한다. 폐쇄적인 사회와 전체주의적인 국가에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기도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북한 방문 여부가 첨예한 이슈가 되고 있는 지금, ‘레미제라블’을 장발장의 이야기가 아니라 미리엘의 이야기로 읽고자하는 것은 그런 맥락에서다.   

소설 속 미리엘 주교는 주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공포의 악당 크라바트가 출몰하는 지역을 호위병도 없이 찾아간다. 악당은 결국 주교의 진심에 감복해 회심을 하고 ‘선물상자’까지 보낸다. 주교는 말한다. “도둑이나 살인자를 결코 두려워해서는 안 돼. 그건 외부의 위험이고 작은 위험이야. 우리들 자신을 두려워하자. 편견이야말로 도둑이고, 악덕이야말로 살인자야. 큰 위험은 우리들 내부에 있어. 우리들의 머리나 지갑을 위협하는 것은 아무 것도 아니야! 영혼을 위협하는 것만을 생각하자.” 현실 속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지난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때 문재인 대통령이 “프란치스코 교황님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에 관심이 많다. 한번 만나 보는 게 어떠냐”고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제안하자 김 위원장은 이에 적극적인 환대 의사를 나타냈다고 한다. 교황은 오는 18일(현지시간) 교황청을 공식 방문하는 문 대통령과 면담을 할 예정이어서 방북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교황청이 방북 초청을 수락할지는 미지수다. 그러나 기대감은 높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올 들어 한반도 정세의 주요 국면 때마다 기도와 축원을 아끼지 않았다. 4·27 판문점 정상회담 직후 열린 미사에서는 “남북정상회담의 긍정적인 결과와 핵 없는 한반도를 위한 진정한 대화를 추진한 양쪽 지도자들의 용감한 헌신에 나의 기도를 덧붙인다”고 했다. 한반도 문제에 관심이 깊다. 2014년 미국과 쿠바가 53년간의 적대관계를 청산하는 데도 특별한 역할을 한 교황이다.     

교황의 방북이 성사된다면 분명 한반도 평화정착에 긍정적인 ‘사건’이 될 것이다. 북한으로서는 국제사회에 평화의 이미지를 높이고 정상국가로 한발 다가갈 수 있는 기회다. 앞으로 있을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와 함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이 ‘불가역적’ 단계에 이르렀다는 메시지를 뚜렷이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완강한 거부의 몸짓을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이 김정은의 대변인이냐, 메신저냐”는 소리가 나오는가 하면, 북한이 정상국가임을 선전하려는 김 위원장의 의도에 포섭된 것 아니냐는 자조적인 말도 나온다. 제 얼굴에 침 뱉기다. 북한 주민들이 종교계의 상징적 인물인 교황을 자신의 땅에서 직접 접한다면 북한의 폐쇄성에 균열이 생길 수도 있다. 교황의 방북은 그 자체만으로도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과 종교자유 억압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교황청도 각국에 대사를 두고 있는 정부인만큼 교황을 초청하려면 북한이 외교경로를 통해 직접 제의해야 한다는 것도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언제까지 두고만 보는 게 능사인가. 그게 국익인가.    

법이 허용하고 국민정서가 용인하고 세계가 박수를 보내는 한 우리는 남북의 화해와 평화를 위해 무엇이든 해야 한다. 지금은 남북이 체제경쟁을 벌이던 1960∼70년대 냉전의 시대가 아니다. 교황의 방북을 돕는 것은 잘못된 일이 아니다. 단순히 북한의 입장을 대변하는 메신저 구실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를 고려한 중재외교의 하나로 보는 게 옳다. 북한의 정치적 의도는 경계해야겠지만 그들의 정상국가화 행보를 우리가 애써 막아설 이유는 없다.    

목자의 문은 늘 열려 있어야 한다. 목자에게는 ‘불쌍한 사람’이라는 이름의 환자들이 있다. 목자에게는 불요불굴의 용기가 있다. 이 모든 것의 총화인 교황의 사랑과 화해, 그리고 평화의 메시지가 북녘 땅에 널리 퍼지도록 해야 한다. 완전한 비핵화가 없는데, 인권 상황이 개선되지 않았는데 교황이 왜 북한을 가느냐고 하는 것은 편협하다. 눈앞 밖에 못 보는 터널 비전(tunnel vision)이다. ‘레미제라블’에는 말 많은 사람은 흔해도 생각 있는 사람은 드물다는 경구가 등장한다. 한반도 정세의 대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이 때, 새겨들어야 할 말 아닌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