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인구소멸지역의 아동돌봄 정책 현안 관련 유상범국회의원과의 간담회 실시

김동성 기자 | 기사입력 2024/06/11 [16:09]

인구소멸지역의 아동돌봄 정책 현안 관련 유상범국회의원과의 간담회 실시

김동성 기자 | 입력 : 2024/06/11 [16:09]

 

 

강원특별자치 다함께돌봄센터협의회 홍천,횡성,평창지부는 지난 6월 8일 토요일 홍천미술관 2층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인구소멸지역의 아동돌봄 정책 현안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유상범 국회의원, 박영록 군의회 의장, 홍성기 도의원, 이영욱 도의원, 용준식 군의원, 황경화 군의원이 참석했다.

 

이날 현장에서 다함께돌봄센터 종사자로 홍천, 횡성지부장 해밝음돌봄터 황현민 센터장, 영귀미 차윤진 센터장, 횡성지역 강은하 센터장, 이혜영 돌봄교사, 평창지역 평창지부장 이성빈 센터장, 봉평점 배영순 센터장, 대화점 박명희 센터장, 강원특별자치도 다함께돌봄센터협의회 최현수 회장, 박은미 부회장이 참석하였다. 영귀미 차윤진 센터장은 육아휴직 중임에도 종사자의 처우개선 촉구를 위해 아기를 안고 와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현안사항 중, 강원도 지역 내 다함께돌봄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모든 종사자들의 처우개선에 대해 논의가했다. 현재 각 지자체별로 수당이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아 종사자들의 부당한 처우를 받고 있음을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 및 돌봄교사가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하루 10시간 이상 근무하는 등의 초과근무를 하고 있으나 종사자들은 초과 근무에 대한 수당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장기근속에 대한 근속수당, 4시간 이하 근무자의 복지수당 등도 지원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전달하며, 종사자 처우개선이 시급한 상황임을 전했다.

 

특히 지자체 중 각 광역시와 특별자치도에 해당하는 지자체들은 모두 호봉제를 적용하여 있으나, 강원특별자치도는 적용하지 않고 있는 상황임을 강조했다. 특히 동일한 아동돌봄복지분야인 지역아동센터는 호봉제를 적용하고 있으나 다함께돌봄센터는 배제되고 있었다. 다함께돌봄센터를 시행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는 다함께돌봄센터 사업 시행과 동시에 호봉제를 자동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에 유상범 국회의원은 이 사안에 대해 “차별받지 않는 처우개선이 되어야, 질 높은 아동돌봄서비스로 연계될 수 있다.”고 했으며, “수당 지급에 대한 제도적 개선도 해야겠지만, 무엇보다도 호봉제 도입이 가장 시급해 보인다. 이에 강원도지사에게 호봉제 적용에 대해 검토하도록 전달하겠다.”고 했다. 이에 함께 참석한 센터장과 돌봄교사 모두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홍천, 횡성지부장인 황현민 센터장은 추가적으로 전하고 싶은 의견으로 “아동은 그 존재만으로도 취약한 존재이기에 소득을 기준으로 돌봄의 경계를 만드는 것은 아동돌봄의 모순이다.”라고 하였으며, “모든 아동은 평등한 돌봄을 받아야 하며, 이에 돌봄을 맡고 있는 종사자들에게 적극적인 처우개선이 추진되어야 한다. 엄마가 행복해야 아이들이 행복하듯, 종사자들이 안정적이어야 아이들도 안정적인 돌봄서비스를 지속적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 다함께돌봄센터협의회 회장은 “인구소멸 위기에 봉착한 강원도 지역에서는 아동의 존재가 아주 중요하다. 이에 아동돌봄을 위해 헌신적으로 임하고 있는 다함께돌봄센터 종사자들의 처우가 차별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자체에서는 아동돌봄에 종사하는 모든 종사자들이 장기적으로 근무하며 안정적인 돌봄시스템이 지속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강양항 일출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